서론
2025년 현재 국내 해상풍력은 “정부 주도 계획입지” 체제로 전환되며 가속도가 붙고 있다. 2025년 2월 27일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해상풍력특별법)이 통과돼 개발자 주도 ‘오픈도어’ 방식에서 정부가 지정한 발전지구 중심으로 절차가 일원화된다. 인허가 일괄처리, 주민수용성 체계, 공공 역할 강화가 골자다. 김창
또한 정부는 2025년부터 풍력 경쟁입찰을 연 2회로 확대했고, 상반기에는 고정식 해상풍력 1.25GW 입찰을 예고했다. 즉, “어디가 유망한가”는 법·제도상 지정·허가 현황과 입찰·계통 인프라 준비도로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offshorewind.bizEnerdata
본론
유망지 판단 기준(팩트 기반)
-
법적 지정·허가: 집적화단지 지정, 전기사업허가(EBL) 취득 여부. 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offshorewind.biz
-
시장·입찰 접근성: 경쟁입찰 일정과 물량의 존재.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
실적·레퍼런스: 운영·상업운전 사례의 존재. SK이노베이션 뉴스룸 SKinno News에너지타임즈
1) 전남 신안 — 3.2GW 집적화단지 ‘확정’
산업부가 2025년 4월 22일 신안을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총 3.2GW)**로 지정했다. 지자체 주도로 민관협의회·수용성 절차를 갖춘 공식 개발구역이라는 점에서 법적·제도적 확실성이 높다(완료 목표 2033년). 산업통상자원부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신안 권역은 대규모 단지 조성 계획과 병행해 송·변전 설비 논의가 진행 중이며, 정부 차원의 서해안 HVDC(‘에너지 고속도로’) 추진이 공론화돼 수도권 전력 수송 축과의 연결성 기대가 크다. 경향신문주간동아
2) 전북 서남권(부안·고창) — 1GW ‘확산단지 1’ 지정 + 60MW 실적
2025년 2월 전북 서남권 1,000MW가 집적화단지로 고시됐다. 동일 해역에 60MW 실증·상업운전 경험(서남해 해상풍력)이 있어 공급망·운영 레퍼런스가 축적된 것도 강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kowp.co.kr
3) 인천 — 수도권 배후, 1.6GW EBL + 공공주도 대형 개발지원
덴마크 Ørsted가 인천 1.6GW 프로젝트에 대해 전기사업허가(EBL)를 획득했다. 향후 환경평가·입찰 절차에 들어갈 수 있는 법적 기반이 갖춰진 상태다. 더불어 정부는 2024년 인천 연안(IC1·IC2·IC3) 2GW 규모의 공공주도 대형 개발지원 사업 대상지로 인천을 선정해 행정·기초조사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수도권 수요지 인접이라는 이점까지 고려하면 사업 여건이 가장 ‘정책 정합적’인 권역 중 하나다. Reutersclarksons.com
4) 울산(동해, 부유식 중심) — 대규모 파이프라인과 산업생태계, 다만 규제 변수
울산 해역은 **부유식 대형 프로젝트(약 6GW 내외 파이프라인)**가 추진 중이며, 한국부유식풍력(KFW) 등 다수 컨소시엄이 개발을 진행한다. 최근 일부 글로벌 기업의 지분 정리 이슈가 있었지만, 지방정부의 투자유치·산업 생태계 강화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군사구역 중첩, 전파·환경영향 절차 등 규제·수용성 변수가 존재해 일정 리스크 관리가 핵심이다. koreafloatingwind.kr전기신문다음
5) 충남 태안 — 1.4GW급 3개 단지 추진 + O&M 부두 계획
태안군은 500MW(태안풍력)·400MW(가의)·495MW(서해) 등 약 1.4G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패키지로 추진 중이다. 운영·유지보수 거점인 해상풍력 O&M 부두를 2029년까지 태안항에 조성할 계획도 공식화했다. 지자체 주도의 수용성 활동과 공공·민간 협력 채널이 활성화돼 있다는 점에서 중부 서해권의 대표 후보지로 평가할 수 있다. 충청남도뉴스프라임
6) 제주 — 운영·상업운전 레퍼런스 + 확대 추진
제주 한림해상풍력 100MW가 2025년 준공·운영에 들어섰고, 탐라해상풍력 30MW → 100MW(’27년 목표) 확장안도 의결됐다. 국내 해상풍력의 ‘운영 데이터’가 축적되는 권역으로 공급망·O&M 경험이 풍부해, 기술·운영 레퍼런스가 필요한 사업자에 유리하다. 다만 도내 계통 여유 등은 사전 점검이 필수다. 에너지타임즈헤드라인제주
한눈에 보는 유망 예정지(2025년 기준)
권역 | 핵심 구분 | 규모/상태 | 유망 포인트 |
---|---|---|---|
전남 신안 | 집적화단지 | 3.2GW 지정(’25.4) | 제도 확실성·대규모 개발·서해안 HVDC 논의 연계성 산업통상자원부주간동아 |
전북 서남권 | 집적화단지 | 1.0GW 지정(’25.2) | 실증 60MW 운영 경험, 확산단지로 확대 산업통상자원부kowp.co.kr |
인천 | EBL/공공지원 | Ørsted 1.6GW EBL + 2GW 공공주도 지원 | 수도권 인접, 공공 지원체계 가동 Reutersclarksons.com |
울산(부유식) | 개발 파이프라인 | ~6GW 추진 | 부유식 클러스터·산업기반, 규제 변수 관리 필요 전기신문다음 |
충남 태안 | 지자체 주도 | ~1.4GW + O&M 부두(’29 계획) | 수용성 활동·항만 인프라 계획으로 실행성 제고 충청남도뉴스프라임 |
제주 | 운영 레퍼런스 | 한림 100MW 운영, 탐라 확대 진행 | 상업운전 데이터·공급망 경험 축적 에너지타임즈헤드라인제주 |
입찰·계통 인프라 체크포인트
-
입찰시장: 2025년 상반기 고정식 해상풍력 1.25GW 공고, 연 2회 체제로 전환. 향후 프로젝트의 가격·비가격 요건 준비가 중요. 대한민국 정책브리핑offshorewind.biz
-
계통: 동해안–수도권 HVDC는 공사 본격화·주민합의가 진전됐고, **서해안 해저 HVDC(에너지 고속도로)**는 2030년 완공 목표로 정책 추진이 공개됐다. 서·동해 계통축의 확충은 서남·인천·울산 권역 사업 실현성에 직결된다. 경향신문파이낸스투데이주간동아
정리 요약
-
가장 제도적으로 확실: 전남 신안(3.2GW), 전북 서남권(1GW) — 집적화단지 확정. 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
-
수요지 인접·스케일: 인천(EBL 1.6GW + 공공주도 2GW 지원). Reutersclarksons.com
-
지자체 드라이브: 충남 태안(1.4GW·O&M 부두 계획), 제주(운영 레퍼런스). 충청남도뉴스프라임에너지타임즈
관련 질문과 답변(FAQ)
Q1. ‘집적화단지’로 지정되면 무엇이 다른가요?
A. 지자체 주도로 수용성·환경성이 확보된 구역에 대해 정부가 송변전·행정 절차를 패키지로 지원합니다. 이후 발전지구·사업자 선정이 이뤄지며 인허가 의제 등 절차가 간소화됩니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통상자원부
Q2. 인천은 왜 유망하다고 하나요?
A. Ørsted 1.6GW가 EBL을 확보했고, 공공주도 대형 개발지원 대상지로 선정되어 행정·기초조사가 병행됩니다. 수도권 수요지 인접으로 계통 연계 측면의 이점도 큽니다. Reutersclarksons.com
Q3. 울산 부유식은 일정이 지연된다는 말이 있는데?
A. 군사구역 중첩과 환경·해양공간계획 승인 절차 등 복합 이슈가 있어 속도 조절이 필요합니다. 다만 산업 생태계·투자 유치가 지속되고 특별법 시행으로 절차 단축이 기대됩니다. 다음김창
Q4. 올해(2025년) 개발자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일정은?
A. 상반기 고정식 1.25GW 경쟁입찰과 연 2회 입찰체제 전환입니다. 준비된 프로젝트일수록 선정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offshorewind.biz
Q5. 서해·동해 HVDC는 사업 실현성에 어떤 의미가 있나요?
A. 대규모 재생전력을 수요지로 안정적으로 수송하는 전력 고속도로로, 서남권·인천·울산 권역 프로젝트의 PPA·송전 리스크를 완화하는 핵심 기반입니다. 경향신문주간동아
마무리
유망지는 지정·허가가 ‘확정’된 곳, 입찰·계통 인프라가 구체화된 곳, 운영 레퍼런스가 축적되는 곳이다. 이 기준으로 보면 신안·서남권·인천·울산(부유식)·태안·제주가 2025년 현재 가장 눈에 띈다. 각 권역별로 여건과 리스크가 다르니, 사업자는 집적화단지/EBL/입찰요건/계통 계획을 체크리스트로 삼아 실사에 들어가는 것이 정석이다. 여러분은 어떤 지역이 가장 실행력이 높다고 보시나요? 여러분의 의견을 댓글로 나눠주세요.